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재정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 인재 양성 지원 사업이란?

공과대학 스스로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방향을 수립하고 산업계 수요 및 대학특성에 맞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창의적 공학인재 양성 및 공학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

는 사업

총 사업 기간: 2022. 3. 01. ~ 2028. 2. 29.(6년)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구성(주관 - 충남대, 참여 - 순천향대, 호서대)

검색
[2024] 2024년 1회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워크숍

Ⅰ 추진 목적 ❍ 2024년도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협력체계 구축 및 사업 추진 목표 공유 ❍ 2024년도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프로그램 및 워크숍 운영 논의 Ⅱ 추진 개요 ❍ 일 시: 2024. 5. 9.(목) 10:00 ~ 14:00 ❍ 장 소: 충남대학교 융합교육혁신센터 컨벤션동(E5) 303호 ❍ 대 상 -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센터장 및 부센터장 -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실무자 등 ❍ 인 원: 12명 ❍ 주최·주관: 충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Ⅲ 세부 계획 ❍ 워크숍 일정 일 시 내 용 10:00 ~ 10:10 등록 및 인사말 - 정현 충남대학교 센터장 10:10 ~ 11:00 주관대학 워크숍 공유 - 주관대학 워크숍 결과 공유 - 우수평가 운영 사례 - 글로벌 프로그램 운영 사례 11:00 ~ 12:00 컨소시엄 공동 프로그램 운영 방안 논의 12:00 ~ 13:00 중식 13:00 ~ 13:40 최종 정리 및 사진 촬영 13:40 ~ 14:00 폐회 ❍ 참석자 명단 연번 소속 직위 성명 비고 1 충남대학교 센터장 정 현 2 순천향대학교 센터장 정강률 3 호서대학교 부센터장 정현준 4 충남대학교 부장 이춘수 5 충남대학교 직원 김영주 6 충남대학교 직원 이상림 7 충남대학교 직원 유혜정 8 충남대학교 직원 임민경 9 충남대학교 직원 최문선 10 순천향대학교 직원 김현경 11 순천향대학교 직원 고유정 12 호서대학교 직원 황정민 Ⅳ 회의 내용 ❍ 주관대학 워크숍 결과 공유 및 글로벌 프로그램 공유 - 성균관대학교의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을 잘 운영하고 있음 - 교육 운영시 컨소시엄 대학 뿐 아니라 타 대학 학생들도 참여 할 수 있게 오픈하여 운영함 - 컨소시엄 규모가 커서 여러 학생이 참여 하는 것이 가능 했던거 같음 ❍ 글로벌 프로그램 운영 사례 및 기타 내용 공유 - 영남대학교 컨소시엄은 가나자와 공대(일본), RMUTT태국과 글로벌 캠프를 진행 - 3D 캐드로 디지털 프로토타입 제작과 온라인 교육 수강, 재료비 지원으로 시작품 제작 - 3D 캐드로 설계와 팀별 UCC를 제작해서 프리젠테이션 진행 - 부산대학교 컨소시엄에서 ODA사업과 연계하거나 차별화된 ODA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란 의견이 있었음 - KIAT의 의견은 글로벌 프로그램을 중앙운영 형식으로 진행하려고 함 ❍ 컨소시엄 공동 프로그램 운영 논의 1. 컨소시엄 공동 프로그램 주요 일정 일자 프로그램명 비고 2024. 05. · 1회 컨소시엄 대학간 워크숍(5. 9.(목)) · i-CAPS 중간 보고회(온라인, 5. 16.(목)) 2024. 06. · i-CAPS 중간 보고회(온라인) · 충청지역 Design Thinking & Presentation Camp1) 2024. 07. ·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본 소양 프로그램 교육(C++교육)2) · 미래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어 공모전3) 2024. 08. · 한국디스플레이 산업전시회 참관(8. 14.~16. 중 하루)4) · 국내 2차 D-Camp 개최(8월 하반기 예정) · 총괄 워크숍(8. 26.(월)~27.(화)) 2024. 09. - 2024. 10. · 2025년도 i-CAPS 참가자 모집 · 1회 산학연추진단 워크숍 · 산업계 수요조사 2024. 11. · 공학 페스티벌(예선, 본선) 2024. 12. · 2회 컨소시엄 대학간 워크숍 · 2회 산학연추진단 워크숍 2025. 01. - 2025. 02. · 2025년도 1차 D-CAMP 해외 개최 1) 충청지역 Design Thinking & Presentation Camp - 온라인(6. 21.(금)~24.(월)), 오프라인(6. 25.(화)~28.(금)) - 온라인교육으로 탬플릿 제작, 산업체 특강 등으로 계획을 하고 있음 - DTPT의 주제 선정에 있어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의 디스플레이 공모전 주제와 연계하여 진행하면 좋을 거 같음 - 디스플레이산업협회의 Display-MOOC의 온라인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해 보는 것도 고려해 보면 좋을 거 같음 2)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본 소양 프로그램 교육(C++교육) - 2024년 공동 프로그램은 작년과 동일한 주제로 진행 - 교육업체는 유스템, 장소는 KT연수원에서 진행 - 온라인, 오프라인 형식으로 진행 3) 미래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어 공모전 - 산학연추진단 의견으로 아이디어 공모전을 하면 좋을 거 같다는 의견이 있었음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의 디스플레이 공모전에 충남대학교 컨소시엄 부문을 별도로 만들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단장상’을 수여하는 것에 대해 논의 필요 - 공모전의 상격과 상금은 추후 한국디스플레이협회와 논의 후 결정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의 디스플레이 공모전과 협업할 수 있는 사항이 있는지 ZOOM 회의를 개최하여 논의 필요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의 아이디어 공모전 주제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음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와의 협업할 수 없다면 개별로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 4) 한국디스플레이 산업전시회 참관 - 산업전시회를 참여하는 학생에게 디스플레이산업협회의 Display-MOOC를 활용하여 먼저 디스플레이 관련 내용을 수강하게 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참관을 할 수 있도록 내용 제공 5) 기타 - KIAT의 글로벌 프로그램 추진에 따라 1차 D-CAMP의 내용이 변동될 수도 있음 - 공동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각 대학의 일정을 확인하여 조율 후 진행 - 호서대학교 ‘반도체 공정 실습’: 6. 24.(월)~25.(화), 1~4학년 기초과정, 6. 26.(수)~27.(목), 3~4학년 심화교육 진행. 각 학교에서 관심이 있는 학생이 참여할 수 있게 홍보. 클린룸의 실습 시간을 고려하여 타교생(충남대, 순천향대 포함) 5명으로 제한. 포스터 제작되면 배포 예정 - 충남대학교 RIS사업단과 유니티를 활용하여 AR·VR 기초 교육을 2회 진행 예정. 충남대 학생 우선 선발하지만, RIS 사업의 참여대학으로 순천향대, 호서대도 포함되어 있으니 관심 있는 학생이 참여할 수 있게 하면 좋을 거 같음 - 총괄 워크숍 일정 공유: 8. 26.(월)~8. 27.(화), 부산 신라스테이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48
[2023] 11기 i-CAPS(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1차 d-CAMP 개최

1.추진배경 가.글로벌 융합교육을 위한 공학교육의 혁신 요구 증가 나.해외대학-국내 대학생간의 교류 활동 부족 다.단일 대학의 독자적인 해외대학 교류 프로그램의 한계 라.컨소시엄 중심의 해외 우수대학 교류 및 확산 2. 목적 및 필요성 가.개방형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글로벌 공학교육모델 개발 나.아시아 국가간 캡스톤 디자인 교육협력체계 구축 다.국제공동 융복합 설계 캠프를 통한 공학교육 글로벌 마인드 함양 3. i-CAPS 내용 가.참여대학 -국내:충남대학교 컨소시엄(순천향대,충남대,호서대),전남대학교 컨소시엄(강릉원주대,동신대,목포대,순천대,전남대),전북대학교 컨소시엄(광주대,군산대,원광대,전북대,전주대,제주대) -해외:인도네시아ITB(반둥공과대학),말레이시아UKM(말레이시아국립대학),대만NCKU(國立成功大學),싱가폴NTU(난양기술대),베트남HUST(하노이공과대학),필리핀 UP, Diliman (필리핀 델리만대학) (6개) -국내대학 1팀 – 해외대학 1팀 매칭으로 글로벌 팀 조직 총 21팀 운영 나.설계주제:Future Campus 4. 1차 d-CAMP 가. 일시: 2021. 1. 29.(월) ~ 2. 2.(금) 나. 장소: 대만 NCKU(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 대만 타이난시 다. 공동주관: 충남대, 전남대, 전북대 라. 주요프로그램 - i-CAPS Team Meeting & Design Proposal Presentation -Special Lecture & Design Thinking Workshop -Team Meeting, 캡스톤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 – 설계 주제: Future Campus - Exclusion Activity, Museum Park 마. 일정 5. 교내 참여팀 가.1조: 전자공학과(김새봄, 최예중, 우승민)+인도네시아 ITB 나. 12조: 전자공학과(김유진, 조서연, 황유진)+말레이시아 UKM 다. 14조: 응용화학과(강민서, 이호정), 신소재공학과(이아령)+베트남HUST 5. 추후 일정 설계활동 2024. 2. ~ 8. ⇨ 설계주제논의: 화상프로그램 및 E-mail, 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정보교류 ⇨ 작품설계진행 팀당 재료비 $700 지원 1차 중간보고 2024. 4. 중 예정 2차 중간보고 2024. 6. 중 예정 2차 디자인 캠프 2024. 8. 중 예정 ⇨ 설계작품 제작 완료 ⇨ 최종 발표 및 경진대회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4.02.20
  • 조회수 1007
[2023] 인공지능을 활용한 jetbot 캠프

◆ 교육 목적 -지역 산업체 수요 기반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와 jetbot 융합 기술 활용 능력 함양 -이론 및 실제 기자재 활용 교육을 통한 내실 있는 양질의 교육 제공 -공과대학 재학생의 창의적·실무적 역량 강화 견인 ◆ 교육 개요 - 기간: 2024. 1. 3.(수) ~ 12.(금) 48시간(8일×8시간) - 장소: 공대1호관 335호, 338호 강의실 - 참여인원: 학부생 26명(비공대생 4명 포함-물리학과, 식물자원학과, 심리학과, 정보통계학과) - 주요내용 ·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딥러닝 기본 이론을 이해 · 젯봇의 주행과 이미지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자율주행의 기초 방법을 실습 · 수자원 관리에 응용할 수 있는 파이프 미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실습 · 여러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로봇·인공지능의 활용과 응용에 대한 기반 지식 습득 ◆ 교육 내용 구분 일자별 제목 시간 내용 1일차 3.(수) 머신러닝, 딥러닝, 이미지 인식 3 •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리뷰 •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 딥러닝 라이브러리 3 • 이미지 인식 알고리듬 • CNN 의 이해 • 딥러닝 이미지 인식 예제 2일차 1. 4.(목) 젯봇 조립 및 주행 테스트 3 • 젯봇 하드웨어 부품의 이해 • 조편성 및 하드웨어 조립 • 하드웨어 테스트 3 • 네트워크 설정 및 PC연동 • 원격 조종 주행 테스트 • 젯봇 소프트웨어 구성 리뷰 3일차 5.(금) 젯봇 활용 미션 1 3 • 기본 동작 테스트 • 직선 주행 연습 • 충돌 방지 알고리즘 3 • 장애물 회피 주행 연습 • 충돌 방지 알고리듬 응용 • 조별 프로젝트 아이디에이션 1 4일차 8.(월) 젯봇 활용 미션 2 3 • 카메라 활용 확장 테스트 • 이미지 인식 데이터 준비 • 이미지 인식 데이터 학습 동작 테스트 3 • 안면 인식 데이터와 학습 • 컬러 인식 방법 응용 • 조별 프로젝트 아이디에이션 2 5일차 9.(화) 젯봇 활용 미션 3 3 • 젯봇 사물 인식 방법 리뷰 • 다양한 오브젝트 데이터 수집 • 오브젝트 데이터 학습 및 동작 테스트 3 •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 준비 • 트랙 인식과 자율주행 • 조별 프로젝트 준비 6일차 10.(수) 젯봇 활용 파이프 미션 1 3 • 파이프 내부 동작 방안 리뷰 • 파이프 내 장애물 회피 주행 연습 • 파이프 굴절 구조 내에서 주행 연습 3 • 파이프 구조 내에서 문제 상황 정의 •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 방법 토의 • 문제상황에 대한 해결 방법 코딩 7일차 11.(목) 젯봇 활용 파이프 미션 2 3 • 파이프 내부 문제 해결 수행 테스트 • 문제 해결 프로젝트 테스트 디버깅 • 문제 해결 프로젝트 최종 수행 테스트 3 • 프로젝트 해결 관련 최종 디버깅 • 프로젝트 발표 준비 • 발표 자료 정리 및 멘토링 8일차 12.(금) 프로젝트 발표 3 • 프로젝트 시연 3 • 프로젝트 발표 • 리뷰와 시상 ◆ 운영 결과 - 이수자: 24명(개인 사정으로 중도 포기 1명, 이수기준 미충족 1명) - 만족도: 4.78/5.0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4.02.20
  • 조회수 1084
[2023] 올해의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1. 목적 1) 학습자 중심 팀 소통과 협동과정을 통해 창출된 캡스톤디자인 우수 아이디어 발굴 2) 실질적 산학연 연계 성과를 발굴하고 선도적 산학연 연계 교육모델로써 활성화 2. 행사개요 1) 대상: 2023년도 2학기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이수 팀 2) 장소: 융합교육혁신센터 3) 공동주관: 공학교육혁신센터, LINC3.0 사업단 3. 세부 일정 1) 2학기 캡스톤디자인 전시: 11. 27.(월) ~ 12. 1.(금) 2) 접수: 12. 12.(화) 까지 (교과목 담당교수 1~2팀 추천) - 43팀 3) 심사: 12. 14.(목) 16:00 ~ (대상1팀, 최우수 6팀 선정) - - 심사항목: 문제 제기의 공감성(25), 아이디어의 창의성(25), 실용화(사업화) 가능성(25), 완성도 및 성실성(25) - 심사위원 6명 성 명 소 속 비고 민병조 변리사 특허법인 오암 공학 박강선 이사 엠케이바이오텍 이학 박창현 대표 창스퀘어 마케팅 이순재 박사 충남대 산학협력단 공학 차상민 변리사 새벽특허법률 대표 공학 장광희 교수 목원대학교 마케팅 - 심사로 최우수 6팀 선정 - 대상은 시상식 당일 현장 투표로 선정 4) 시상식: 12. 20.(수) 16:00 ~ 4. 평가결과 상훈 수상자(팀) 주제 소속 성명 상금 대상 총장상 공작부인 폴딩 방식이 탐재된 소형 복합 가공기 기계공학부 이강현 1,000,000 기계공학부 김학준 기계공학부 김민재 기계공학부 박현민 기계공학부 지승배 최우수 총장상 씨씨로 지역축제와 대학자원을 활용한 CC로 건축공학과 권예서 300,000 건축공학과 박하경 건축공학과 안정우 최우수 트램스터너 트램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홀로그램 안전펜스 토목공학과 양승주 300,000 토목공학과 류재연 토목공학과 신동찬 기계공학부 곽지원 기계공학부 전재관 최우수 로키트 천농의 기능성 농산물을 활용한 밀키트 신제품 아이디어 제안 경영학부 박유정 300,000 경영학부 한상현 언론정보학과 정연서 최우수 경제학 1팀 지역축제 경제 활성화 영향 분석-대전지역축제 경제파급효과 경제학과 박현춘 300,000 경제학과 정용우 경제학과 김유진 경제학과 조민지 영어영문학과 김동흠 최우수 루티너 루틴형성과 실천을 통해 몰입도 향상을 돕는 어플리케이션 기계공학부 박규진 300,000 기계공학부 박재민 응용생물학과 김철희 리더십과조직과학 정다운 최우수 route2 휠체어 사용자의 보행 편의를 위한 공압을 이용한 오리가미 경사로 제작 기계공학부 서주영 300,000 기계공학부 김수진 전기공학과 장석훈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4.02.14
  • 조회수 1422
1 2 3 4 5 6 7 8 9 10 5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