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재정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 인재 양성 지원 사업이란?

공과대학 스스로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방향을 수립하고 산업계 수요 및 대학특성에 맞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창의적 공학인재 양성 및 공학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

는 사업

총 사업 기간: 2022. 3. 01. ~ 2028. 2. 29.(6년)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구성(주관 - 충남대, 참여 - 순천향대, 호서대)

검색
[2025] CSWP 교육

1. 목적 및 개요 ○교육목적: 특성화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현장맞춤식 교육을 통한 재학생의 설계에 대한 이해, 전문성 향상 및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경쟁력 제고 ○교 육 명: CSWP 자격인증 교육 프로그램 ○교육기간: 2024. 7. 22.(월) 10:00 ~ 25.(목) 16:00 2 0시간 ○교육장소: 공대4호관 413호(기계공학부 컴퓨터실) 2. 현황 ○교육내용 - SOLIDWORKS 소개 및 모델링 - CSWP 시험 준비 - CSWP 시험 ○강사명: 프로랩 이호찬 ○참여자 명단 연번 학과 학번 성명 비고 1 기계공학부 202002235 변준혁 2 기계공학부 202204383 한지욱 3 기계공학부 202104309 정인오 4 기계공학부 202102254 방도윤 5 기계공학부 202104290 강요한 6 기계공학부 201902447 전승호 7 기계공학부 202002210 김재현 8 기계공학부 202102257 성창민 9 기계공학부 202202176 문진혁 10 기계공학부 202002198 김민욱 11 기계공학부 202102320 황동규 12 기계공학부 202002253 유호준 13 기계공학부 202002271 정우영 14 기계공학부 201902458 조형준 15 기계공학부 202204384 허성원 16 기계공학부 202002189 김강영 17 기계공학부 202202153 고준희 18 기계공학부 202202166 김태구 19 기계공학부 202204374 박찬주 20 기계공학부 201802411 김태균 21 기계공학부 202002191 김관희 22 기계공학부 202102308 최형대 3. 교육성과 및 활용방안 ○교육결과: - 22명 신청자 중 19명 수료 - 19명이 시험 응시하여 19명 전원 합격 ○교육성과 - 현장맞춤식 교육을 통한 재학생의 설계에 대한 이해 및 전문성 향상 -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 경쟁력 제고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51
[2024] CSWA 교육

1. 목적 및 개요 ○교육목적: 특성화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현장맞춤식 교육을 통한 재학생의 설계에 대한 이해, 전문성 향상 및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경쟁력 제고 ○교 육 명: CSWA 자격인증 교육 프로그램 ○교육기간: 2024. 7. 15.(월) 10:00 ~ 28(목) 16:00 20시간 ○교육장소: 공대4호관 413호(기계공학부 컴퓨터실) 2. 현황 ○교육내용 - SOLIDWORKS 소개 및 모델링 - CS A 시험 준비 - CSWA 시험 ○강사명: 프로랩 이호찬 ○참여자 명단 연번 학과 학번 성명 비고 1 기계공학부 202002235 변준혁 2 기계공학부 202204383 한지욱 3 기계공학부 202104309 정인오 4 기계공학부 202102254 방도윤 5 기계공학부 202104290 강요한 6 기계공학부 201902447 전승호 7 기계공학부 202002210 김재현 8 기계공학부 202102257 성창민 9 기계공학부 202202176 문진혁 10 기계공학부 202002198 김민욱 11 기계공학부 202102320 황동규 12 기계공학부 202002253 유호준 13 기계공학부 202002271 정우영 14 기계공학부 201902458 조형준 15 기계공학부 202204384 허성원 16 기계공학부 202002189 김강영 17 기계공학부 202202153 고준희 18 기계공학부 202202166 김태구 19 기계공학부 202204374 박찬주 20 기계공학부 201802411 김태균 21 기계공학부 202002191 김관희 3. 교육성과 및 활용방안 ○교육결과: - 21명 신청자 중 20명 수료 - 20명이 시험 응시하여 20명 전원 합격 ○교육성과 - 현장맞춤식 교육을 통한 재학생의 설계에 대한 이해 및 전문성 향상 -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 경쟁력 제고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50
[2024] 2024년 1차 unity를 활용한 AR·VR 교육 개최

Ⅰ 목적 및 프로그램 개요 1 교육 목적 ❍ 다양한 미래 신산업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 인재 육성의 기본 소양 교육과 기술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 Unity는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게임 개발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므로 다양한 직업 기회를 제공 ❍ Unity를 활용하고 이론 및 실제 AR·VR 기자재 교육을 통해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적 사고를 유도 2 교육 개요 ❍ 교육 일시: 2024. 7. 8.(월) ~ 2024. 7. 10.(수) ❍ 교육 시간: 총 15시간(5시간×3일) ❍ 교육 장소: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5호관 5215호 강의실 ❍ 주최·주관: 충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DSC지역혁신플랫폼 대학교육혁신본부 교육혁신센터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교육 기관: ㈜일리소프트 ❍ 참가 대상: 학부생 14명 ❍ 선발 기준: 신청서 서식 중 신청 동기 등을 기준으로 선발 예정 ❍ 교육 혜택 - 교육비 전액 무료 - 수료기준 충족 시 수료증 발급 ※수료기준: 교육 시간 90% 이상 수강 ❍ 교육 내용 - Unity 엔진의 기본 구조 및 활용 방법 이해 - 오큘러스 퀘스트2의 기자재 사용법과 Dotween을 이용한 코딩 실습 - Unity를 사용한 모빌리티 시뮬레이터 제작 실습 3 교육 내용 일자 시간 주제 강의내용 1일차 1 유니티 소개 및 설치 수업 방향성 제시 (OT) 1. Unity의 활용 되는 곳들 1_1. Unity_Mku_korea수상작을 바탕으로 산업 이용 사례들 20여가지 소개 1_2. ARVR을 활용한 드론 교육, 자율주행 활용교육등 사례 확인 2. Unity 설치 방법 2 Unity 기본 구조를 배우고, Carting Micro 게임 만들고 나만의 게임 웹 공유까지! 1. Unity 에디터 구조의 이해 2. 머터리얼의 이해 3. 3D 씬 사용 방법 이해 2 Unity 3D 세상의 이해 1. Unity 이동 방법 배워보기 2. 신전 만들어 보기 3. 닭 캐릭터 제작하고, Probuilder 사용해 보기 2일차 1 VR 장비 연동 및 설정 1. 오큘러스 퀘스트2 연결 및 설정: 오큘러스 퀘스트2를 Unity 프로젝트에 연결하는 방법 2. XR Interaction Toolkit 설정: XR Interaction Toolkit 플러그인 설치 및 프로젝트 설정 2 Unity로 OX퀴즈 만들어 보기 1. Dotween을 이용한 간단한 코딩 직접 해보기 2. OX퀴즈 결과에 따라 인터랙션 구현하기 2 Unity 애니매이션 캐릭터 넣기 1. Unity 애니매이션의 이해 2. OX퀴즈에 따라 춤추는 캐릭터 넣기 3일차 1 Unity 모빌리티 자율 과제 1. 각 학생별 자율 과제 진행 주제 1. 드론 택시 관리자 시뮬레이터 제작 주제 2. 자율주행 자동차 관리자 시뮬레이터 제작 주제 3. 그외 자유 주제 2 Unity로 모빌리티 시뮬레이터 제작1 1. 자율주행 자동차 3D로 넣기 2. 3D 도시 Unity에 구현하기 2 Unity로 모빌리티 시뮬레이터 제작2 1. 드론, 자동차를 구현하고 이동 경로 넣기 2.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관리하는 기능 구현하고 VR 플레이하기 Ⅱ 프로그램 운영 결과 및 개선사항 1 교육 운영 결과 ❍ 교육 참여 인원: 14명 No 대학 학과 학년 학번 성명 1 국립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1학년 202403213 김소현 2 국립공주대학교 스마트인프라공학과 2학년 202302148 양지성 3 국립공주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2학년 202201317 유지범 4 국립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4학년 202005111 최윤제 5 대전대학교 디지털헬스케어학과 3학년 20221941 김도경 6 대전대학교 산업광고심리학과 3학년 20220951 이수현 7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 3학년 20194173 강세영 8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3학년 20204093 고민수 9 순천향대학교 의공학과 4학년 20203330 이예림 10 우송대학교 철도건설시스템학과 2학년 202310196 문영안 11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1학년 202401958 김채윤 12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과 4학년 202104296 김태형 13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3학년 202201971 박수현 14 충남대학교 전파정보통신공학과 3학년 202201912 이서인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45
[2024] 2024년 하계 C++ 프로그래밍 부트캠프 개최

Ⅰ 목적 및 프로그램 개요 1 교육 목적 ❍ 「2023년도 디스플레이 산업체 수요조사」를 통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언어교육으로 C언어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고 학생들의 기본소양으로 C++을 교육함으로써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전반적인 개발 능력 향상 ❍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관련 분야의 기본소양인 C언어를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실무능력을 강화한 전문인력으로 양성 2 교육 개요 ❍ 교육 운영 운영방식 운영일자 교육시간 장소 비고 온라인 2024. 6. 21.(금)~6. 29.(토) 10시간 온라인 플랫폼 활용 대 면 2024. 7. 3.(수)~7. 5.(금) 20시간 KT인재개발원 ❍ 대 상: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충남대, 순천향대, 호서대) 학부생 ❍ 참여 인원: 29명(충남대 10명, 순천향대 10명, 호서대 9명) ❍ 교육 기관: 유스템(Ustem) ❍ 주최·주관: 충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준비 사항: 개인 노트북(OS : Windows로 교육 진행) ❍ 참가자 혜택 - 교육비 무료 - 숙박 및 식사 제공 - 수료기준 충족 시, 수료증 발급 ※ 수료기준: 교육을 90% 이상 성실히 참여한 자 - 프로그램 종료 후, 우수 학생 선발 ※ 최우수학생 2명, 우수 학생 4명 선발 예정 ❍ 프로그램 주요 내용 온라인 (6. 21.~6. 29.) - C언어 기초 과정 학습 및 평가 대면 (7. 3.~7. 5.) - C++ 프로그래밍 개념 및 이론 과정 학습 - C++ 프로그래밍 실습 - C++ 프로그래밍 평가 및 Review 3 교육 내용 ❍ 비대면(초급) 교육 내용 구분 차시 내용 비고 온라인 (6. 21. ~6. 29.) 1차시 프로그램 설치 및 기초문법 녹화 강의 (9시간) 2차시 프로그램의 작성과 실행 3차시 print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상수 4차시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인 변수와 데이터 형 5차시 데이터 입력과 scanf 6차시 계산에 필요한 연산자와 연산식(1) 7차시 계산에 필요한 연산자와 연산식(1) 8차시 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인 반복문(1) 9차시 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인 반복문(2) 10차시 교육 내용 평가 실시간 (1시간) ❍ 대면 캠프(중급) 교육 내용 구분 차시 내용 비고 1일차 (7. 3.) 1차시 온라인 교육과정 복습(1) 대면 (6시간 30분) 2차시 온라인 교육과정 복습(2) 3차시 C++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와 화면 출력 4차시 namespace와 std:: 5차시 키보드로 문자열 입력 6차시 C++ 클래스 만들기 2일차 (7. 4.) 7차시 생성자, 소멸자, C++ 프로그램 작성법 대면 (8시간) 8차시 객체 포인터와 객체 배열 9차시 string 클래스를 이용한 문자열 사용 10차시 함수의 인자 전달 방식 11차시 함수 호출시 객체 전달 12차시 객체 치환 및 객체 리턴 13차시 참조와 함수 / 복사 생성자 3일차 (7. 5.) 14차시 연습문제 대면 (5시간 30분) 15차시 교육 내용 평가 16차시 평가 Review 17차시 퀴즈를 통합 복습 18차시 질의응답 및 마무리 4 추진 일정 ❍ 대면캠프 상세 일정 세부 시간표 시간 7월 3일(수) 7월 4일(목) 7월 5일(금) 7:30 ~ 8:00 교육 준비 및 학생 이동 조식 8:00 ~ 8:30 8:30 ~ 9:00 준비 후 교육장 이동 및 참가 학생 등록 9:00 ~ 9:30 9:30 ~ 10:00 생성자, 소멸자, C++ 프로그램 작성법 연습문제 10:00 ~ 10:30 10:30 ~ 11:00 참가 학생 등록 11:00 ~ 11:30 온라인 교육과정 복습(1) 객체 포인터와 객체 배열 교육 내용 평가 11:30 ~ 12:00 12:00 ~ 12:30 중식 12:30 ~ 13:00 13:00 ~ 13:30 온라인 교육과정 복습(2) string 클래스를 이용한 문자열 사용 평가 Review 13:30 ~ 14:00 14:00 ~ 14:30 C++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와 화면 출력 함수의 인자 전달 방식 퀴즈를 통합 복습 14:30 ~ 15:00 15:00 ~ 15:30 namespace와 std:: 함수 호출시 객체 전달 질의응답 및 마무리 15:30 ~ 16:00 16:00 ~ 16:30 키보드로 문자열 입력 객체 치환 및 객체 리턴 캠프 종료 및 이동 16:30 ~ 17:00 17:00 ~ 17:30 17:30 ~ 18:00 석식 석식 18:00 ~ 18:30 18:30 ~ 19:00 C++ 클래스 만들기 참조와 함수 / 복사 생성자 19:00 ~ 19:30 Ⅱ 프로그램 운영 결과 및 개선사항 1 교육 운영 현황 ❍ 참여 인원: 총 29명 NO 학교 성명 학과 학번 학년 성별 1 충남대학교 권순성 신소재공학과 202102008 2 남 2 정종훈 신소재공학과 202102071 2 남 3 박수현 신소재공학과 202201971 3 여 4 방지원 응용화학공학과 202002317 4 여 5 한승민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202401809 1 남 6 이송이 전자공학과 202302145 2 여 7 고은채 전파정보통신공학과 202301971 2 여 8 전상혁 전파정보통신공학과 202302018 2 남 9 윤아란 컴퓨터융합학부 202402706 1 여 10 임윤수 컴퓨터융합학부 202002547 3 남 11 순천향대학교 이나영 에너지환경공학과 20244337 1 여 12 민경욱 정보보호학과 20243580 1 남 13 이정민 정보보호학과 20233593 2 남 14 강기훈 정보보호학과 20223572 3 남 15 이하연 정보통신공학과 20244069 1 남 16 신민혁 정보통신공학과 20204121 3 남 17 이상기 정보통신공학과 20204158 3 남 18 이세훈 정보통신공학과 20204157 3 남 19 홍성은 정보통신공학과 20224066 3 여 20 김민호 정보통신공학과 20184155 4 남 21 호서대학교 이정훈 기계공학부 20192897 4 남 22 김태훈 기계자동차공학부 20202472 2 남 23 이정훈 기계자동차공학부 20212273 2 남 24 박수빈 미래자동차공학과 20241366 1 여 25 오하람 미래자동차공학과 20243084 1 여 26 오수민 시스템제어공학과 20220754 3 여 27 이동현 시스템제어공학과 20200802 3 남 28 권호근 컴퓨터공학부 20220735 3 남 29 신은아 화학공학과 20211469 4 여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52
[2024] 2024 충청지역 Design Thinking & Presentation 캠프 개최

Ⅰ 추진 목적 □ Design Thinking을 기반한 사용자 중심의 문제해결과 미래 신산업 및 지역 산업체 수요를 고려한 아이디어 도출 학습 □ 효과적인 아이디어 전달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 충청지역 7개 대학 참여를 통한 지역 네트워크 강화 Ⅱ 추진 개요 □ 운영기간: [온라인] 2024. 6. 21.(금) ~ 24.(월), 9시간 [캠 프] 2024. 6. 25.(화) ~ 28.(금), 36시간 □ 주최/주관: 충청지역 공학교육혁신협의회 ※ 충남대, 건양대, 국립한밭대, 선문대, 순천향대, 한국기술교육대, 호서대(회장교)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충청남도 □ 규 모: 총 7개 대학 62명(대학별 8~9명) □ 교육장소: 대웅경영개발원(경기도 용인) □ 주요내용 - 산업 동향 파악 및 요구사항을 반영한 아이디어가 도출 될 수 있도록 특강 및 멘토링 진행 - 서로 다른 대학 소속의 학생 간 팀 구성을 위한 팀빌딩 제공 - Design Thinking을 통한 아이디어 도출 - 발표력 향상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교육 - 발표 평가를 통한 우수팀 선정 및 시상 □ 운영방식 - 온라인(9시간) · 이론강의(7차시): 녹화강의, 교육내용-PPT 템플릿 제작하기 수강기간(6/21~6/24) 중 자율수강, 수강 완료 후 직접 제작한 PPT템플릿 제출 · 산업체특강(2시간): 실시간특강, 특강내용-산업체 동향, 기업 소개 등 6/24(월)14:00~16:00진행(별도 녹화강의 제공 불가) - 집중캠프(36시간) · 서로 다른 대학 소속의 학생 3인 1팀 구성 · 총 21팀을 2개 분반으로 나누어 운영 · 1, 2일차 분반별 강사 배정, 3일차 멘토 배정 · 주요일정 일자 주요내용 2024. 6. 24.(월) 0일차 - 강의장 세팅 등 운영 준비 - 운영인력 및 실무자 대면 회의(세부 운영사항 최종점검) 2024. 6. 25.(화) 1일차 / 10H - 등록 및 개회식 - 오리엔테이션 및 팀빌딩 - Design Thinking 철학 및 예시 - Design Thinking 프로세스 1차 프로토타입 / 유저테스트 2024. 6. 26.(수) 2일차 / 11H - Presentation Skill / PPT 디자인 2차 프로토타입 / 유저테스트 1차 주제 제출 아이디어 도출 및 발표자료 제작 2024. 6. 27.(목) 3일차 / 11H - 산업체 전문가 멘토링 - 아이디어 도출 및 발표자료 제작 2024. 6. 28.(금) 4일차 / 4H - 리허설 및 최종발표자료 제출 - 최종 Debrief 및 시상식 - 단체사진 촬영 · 세부계획 시간 1일차-10H 2일차-11H 3일차-11H 4일차-4H 9:00-10:00 2차 문제정의 결과물제작 발표심사 10:00-11:00 OT/Mind Set 결과물제작 +산업체멘토링 11:00-12:00 DT 철학 및 예시 2차 프로토타입 12:00-13:00 점심식사 13:00-14:00 스텐포드 DT Basic 워크샵 PPT 디자인 특강 결과물제작 +산업체멘토링 시상 및 수료식 14:00-15:00 내부공감 주제 선정 PT Skill-up 특강 15:00-16:00 문제 정의를 위한 내/외부 인터뷰 결과물제작 발표준비 *16:00 최종 주제 제출 16:00-17:00 2차 유저 테스트 +조별 강사 멘토링 *18:00 1차 주제 제출 17:00-18:00 해결책모색/외부컨설팅 18:00-19:00 저녁식사 19:00-20:00 1차 프로토타입 결과물제작 +강사 멘토링 결과물제작 발표준비 20:00-21:00 1차 유저 테스트 1일차 Debrief 21:00-22:00 Ⅲ 추진 결과 NO 대학명 성명 학부(과) 학년 학번 성별 1 호서대학교 김승민 안전소방학부 4 20191602 남 2 호서대학교 남유경 안전보건학과 2 20231156 여 3 호서대학교 백수현 안전보건학과 2 20231159 여 4 호서대학교 신은아 화학공학과 4 20211469 여 5 호서대학교 김성주 안전보건학과 2 20231151 여 6 호서대학교 안서연 안전보건학과 2 20231164 여 7 호서대학교 안태우 기계공학부 4 20192869 남 8 호서대학교 이기철 안전소방학부 4 20191657 남 9 호서대학교 이정훈 기계공학부 4 20192897 남 10 호서대학교 이정훈 기계자동차공학부 2 20212273 남 11 건양대학교 공희경 의공학과 2 23606007 여 12 건양대학교 정예진 의공학과 2 23606051 여 13 건양대학교 이은비 의료IT공학과 3 21615034 여 14 건양대학교 김현희 의료IT공학과 3 22615016 여 15 건양대학교 장소영 의료IT공학과 3 22615034 여 16 건양대학교 박민혁 의료신소재학과 3 20618009 남 17 건양대학교 송주현 의료신소재학과 3 20618015 남 18 건양대학교 권유빈 의료신소재학과 3 22618004 여 19 건양대학교 이지윤 의료신소재학과 3 22618030 여 20 국립한밭대학교 황윤서 산업경영공학과 4 20211730 여 21 국립한밭대학교 윤나현 일본어과 4 20202454 여 22 국립한밭대학교 나병호 신소재공학과 3 20191142 남 23 국립한밭대학교 선보경 시각영상디자인학과 2 20222366 여 24 국립한밭대학교 박서진 융합경영학과 2 20232204 여 25 국립한밭대학교 최희범 신소재공학과 4 20181145 남 26 국립한밭대학교 전지성 기계공학과 2 20214017 남 27 국립한밭대학교 박혜린 기계공학과 3 20221459 여 28 국립한밭대학교 임동준 설비공학과 4 20191469 남 29 선문대학교 구은교 전자공학과 3 2020330025 남 30 선문대학교 김명준 전자공학과 3 2020330032 남 31 선문대학교 박용현 IT경영학과/AI소프트웨어학과 3 2020621038 남 32 선문대학교 서정호 기계공학과 3 2020310073 남 33 선문대학교 이선규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과 2 2021227037 남 34 선문대학교 정재훈 전자공학과 3 2020330039 남 35 선문대학교 최승원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과 3 2020227001 남 36 선문대학교 최웅 신소재공학과 3 2020727013 남 37 순천향대학교 김다은 의료IT공학과 2 20225527 여 38 순천향대학교 최주원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33 남 39 순천향대학교 윤희찬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40 남 40 순천향대학교 이동욱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41 남 41 순천향대학교 이상기 정보통신공학과 3 20204158 남 42 순천향대학교 장홍선 전자정보공학과 4 20184321 남 43 순천향대학교 장유진 전자정보공학과 2 20234232 여 44 순천향대학교 강예린 전자정보공학과 2 20234251 여 45 순천향대학교 이현진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23 남 46 충남대학교 김재현 기계공학부 2 202002210 남 47 호서대학교 김성주 안전보건학과 2 20231151 여 48 충남대학교 이상훈 신소재공학과 3 201802227 남 49 충남대학교 전소영 유기재료공학과 4 202104337 여 50 충남대학교 임다슬 응용화학공학과 3 202202324 여 51 충남대학교 백승우 유기재료공학과 3 202002406 남 52 충남대학교 이재승 전자공학과 4 202104243 남 53 충남대학교 박정민 전파정보통신공학과 3 202001919 남 54 충남대학교 유수진 환경공학과 3 202202051 여 5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도운 기계공학부 2 2021120012 남 5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우진 전기전자통신공학부 3 2020161020 남 5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서바울 전기전자통신공학부 4 2019161071 남 5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손예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2 2023100406 여 5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윤호상 전기전자통신공학부 3 2020161080 남 6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이재곤 전기전자통신공학부 4 2019161101 남 6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최민서 전기전자통신공학부 2 2021161131 남 6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정민 메카트로닉스공학부 3 2020140030 남 6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이보훈 컴퓨터공학부 3 2017136076 남 □ 참여인원: 총 62명 □ 아이디어 주제 - 스마트 강의실: 교내 학생을 위한 대표적인 시설인 강의실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 ex) 강의실 내 사용 물품- 의자, 책상, 칠판, 전자교탁 등 강의실 구성 - 강의실 내 특정 기술 도입 등 강의실 목적 - 일반강의실, 실험실, 자율학습실, 연구실 등 □ 팀별 작품 주제 조 팀명 주제 설명 1조 블루오션 스마트의자 딥러닝 기술로 자세 문제와 출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한 의자 2조 일등조 블루투스 디지털 인포보드 강의실 앞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맞춤형 수업을 추천해주는 시스템 3조 질문해조 AI 질문 도우미 AI가 학생입장에서 교수님께 질문한다. 4조 클래스케치 클래스 캐치 학생들의 질문 도우미 시스템. 5조 칠판바꿔조 Vision Board 조도 센서,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기존의 칠판의 문제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제품입니다. 6조 SEC 스마트 환경 제어기 스마트 환경 제어기를 이용해 온습도, 조도, 공조 등을 제어하여 학습에 최적화된 강의실을 조성한다. 7조 럭키비키조 딥 러닝 기반 TA 시스템 시험 응시 강의실에서 딥 러닝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를 통해 부정행위를 식별하고, 시험 감독을 보조하는 시스템 8조 황이남 ATTF(엣) 강의실 자동 녹화 기능을 토대로 Test file 제공, 키워드 검색기능, AI 강의 요약, 자동번역기능을 탑재한 ATTF이다 9조 (9)구글 H.E.R.M.E.S. H.E.R.M.E.S.란, 콜라보레이션툴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생간 대규모 협업 시스템입니다. 10조 3다수 스마트 스크린 쉐어링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화면공유, 실시간 반응, 화면 제어기능들을 구현함. 11조 가래떡 스마트 썬 블록 윈도우 스마트 썬 블록 윈도우는 단순히 햇빛을 차단하는 것을 넘어, 태양광 패널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원격제어로 햇빛차단과 온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어서 수업 방해를 해소하여 기존보다 향상된 교육환경을 만든다. 12조 2gather(투게더) 시험 소음 분석, 제어 장치 능동소음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실에서 발생하는 여러 소음들을 분석하고 제어함 13조 상상연구소 너의표정이보여 학생들의 표정 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육 방식 개선 14조 스무th AI 질의응답 시스템 생성형 AI(Chat GPT)와 DB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질문하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15조 설마신드롬 PyroWatch 비전 기술을 접목해 기존의 화재경보 시스템을 개선하여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인다. 16조 오예스 알.잘!딱! “개인 맞춤형 수업 도우미”로 아이트래킹, MR, OCR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각, 사용자 눈의 변화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기기에 출력하면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품이다. 17조 세븐틴 PT Doctor 발표가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발표 연습을 도와주는 솔루션! 18조 스마트리오 AI 지니 튜터 교수님과 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웹기반 대면 강의용 개인 맞춤 실시간 학습 보조로 학습 효율과 집중력을 향상시켜주는 AI이다. 19조 강한의리조 에듀스냅(EduSnap)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상승시킬 학습 도구. 20조 20도씨 컴포트 클래스 IOT 기술을 활용해 에어컨의 균일한 온습도 조절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21조 서윤이 Smart Booking Yolo 객체 인지 기술을 통해 빈 강의실 내에 자리와 책상위의 물체를 인식하고 그 데이터를 코딩으로 분석하여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보드를 통해 웹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습니다.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66
1 2 3 4 5 6 7 8 9 10 4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