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024 충청지역 Design Thinking & Presentation 캠프 개최
Ⅰ
추진 목적
□ Design Thinking을 기반한 사용자 중심의 문제해결과 미래 신산업 및 지역 산업체 수요를 고려한 아이디어 도출 학습
□ 효과적인 아이디어 전달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
□ 충청지역 7개 대학 참여를 통한 지역 네트워크 강화
Ⅱ
추진 개요
□ 운영기간: [온라인] 2024. 6. 21.(금) ~ 24.(월), 9시간 [캠 프] 2024. 6. 25.(화) ~ 28.(금), 36시간
□ 주최/주관: 충청지역 공학교육혁신협의회 ※ 충남대, 건양대, 국립한밭대, 선문대, 순천향대, 한국기술교육대, 호서대(회장교)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충청남도
□ 규 모: 총 7개 대학 62명(대학별 8~9명)
□ 교육장소: 대웅경영개발원(경기도 용인)
□ 주요내용
- 산업 동향 파악 및 요구사항을 반영한 아이디어가 도출 될 수 있도록 특강 및 멘토링 진행
- 서로 다른 대학 소속의 학생 간 팀 구성을 위한 팀빌딩 제공
- Design Thinking을 통한 아이디어 도출
- 발표력 향상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교육
- 발표 평가를 통한 우수팀 선정 및 시상
□ 운영방식
- 온라인(9시간)
· 이론강의(7차시): 녹화강의, 교육내용-PPT 템플릿 제작하기 수강기간(6/21~6/24) 중 자율수강, 수강 완료 후 직접 제작한 PPT템플릿 제출
· 산업체특강(2시간): 실시간특강, 특강내용-산업체 동향, 기업 소개 등 6/24(월)14:00~16:00진행(별도 녹화강의 제공 불가)
- 집중캠프(36시간)
· 서로 다른 대학 소속의 학생 3인 1팀 구성
· 총 21팀을 2개 분반으로 나누어 운영
· 1, 2일차 분반별 강사 배정, 3일차 멘토 배정
· 주요일정
일자
주요내용
2024. 6. 24.(월)
0일차
- 강의장 세팅 등 운영 준비
- 운영인력 및 실무자 대면 회의(세부 운영사항 최종점검)
2024. 6. 25.(화)
1일차 / 10H
- 등록 및 개회식
- 오리엔테이션 및 팀빌딩
- Design Thinking 철학 및 예시
- Design Thinking 프로세스
1차 프로토타입 / 유저테스트
2024. 6. 26.(수)
2일차 / 11H
- Presentation Skill / PPT 디자인
2차 프로토타입 / 유저테스트
1차 주제 제출
아이디어 도출 및 발표자료 제작
2024. 6. 27.(목)
3일차 / 11H
- 산업체 전문가 멘토링
- 아이디어 도출 및 발표자료 제작
2024. 6. 28.(금)
4일차 / 4H
- 리허설 및 최종발표자료 제출
- 최종 Debrief 및 시상식
- 단체사진 촬영
· 세부계획
시간
1일차-10H
2일차-11H
3일차-11H
4일차-4H
9:00-10:00
2차 문제정의
결과물제작
발표심사
10:00-11:00
OT/Mind Set
결과물제작
+산업체멘토링
11:00-12:00
DT 철학 및 예시
2차 프로토타입
12:00-13:00
점심식사
13:00-14:00
스텐포드 DT Basic 워크샵
PPT 디자인 특강
결과물제작
+산업체멘토링
시상 및 수료식
14:00-15:00
내부공감 주제 선정
PT Skill-up 특강
15:00-16:00
문제 정의를 위한
내/외부 인터뷰
결과물제작
발표준비
*16:00 최종 주제 제출
16:00-17:00
2차 유저 테스트
+조별 강사 멘토링
*18:00 1차 주제 제출
17:00-18:00
해결책모색/외부컨설팅
18:00-19:00
저녁식사
19:00-20:00
1차 프로토타입
결과물제작
+강사 멘토링
결과물제작
발표준비
20:00-21:00
1차 유저 테스트
1일차 Debrief
21:00-22:00
Ⅲ
추진 결과
NO
대학명
성명
학부(과)
학년
학번
성별
1
호서대학교
김승민
안전소방학부
4
20191602
남
2
호서대학교
남유경
안전보건학과
2
20231156
여
3
호서대학교
백수현
안전보건학과
2
20231159
여
4
호서대학교
신은아
화학공학과
4
20211469
여
5
호서대학교
김성주
안전보건학과
2
20231151
여
6
호서대학교
안서연
안전보건학과
2
20231164
여
7
호서대학교
안태우
기계공학부
4
20192869
남
8
호서대학교
이기철
안전소방학부
4
20191657
남
9
호서대학교
이정훈
기계공학부
4
20192897
남
10
호서대학교
이정훈
기계자동차공학부
2
20212273
남
11
건양대학교
공희경
의공학과
2
23606007
여
12
건양대학교
정예진
의공학과
2
23606051
여
13
건양대학교
이은비
의료IT공학과
3
21615034
여
14
건양대학교
김현희
의료IT공학과
3
22615016
여
15
건양대학교
장소영
의료IT공학과
3
22615034
여
16
건양대학교
박민혁
의료신소재학과
3
20618009
남
17
건양대학교
송주현
의료신소재학과
3
20618015
남
18
건양대학교
권유빈
의료신소재학과
3
22618004
여
19
건양대학교
이지윤
의료신소재학과
3
22618030
여
20
국립한밭대학교
황윤서
산업경영공학과
4
20211730
여
21
국립한밭대학교
윤나현
일본어과
4
20202454
여
22
국립한밭대학교
나병호
신소재공학과
3
20191142
남
23
국립한밭대학교
선보경
시각영상디자인학과
2
20222366
여
24
국립한밭대학교
박서진
융합경영학과
2
20232204
여
25
국립한밭대학교
최희범
신소재공학과
4
20181145
남
26
국립한밭대학교
전지성
기계공학과
2
20214017
남
27
국립한밭대학교
박혜린
기계공학과
3
20221459
여
28
국립한밭대학교
임동준
설비공학과
4
20191469
남
29
선문대학교
구은교
전자공학과
3
2020330025
남
30
선문대학교
김명준
전자공학과
3
2020330032
남
31
선문대학교
박용현
IT경영학과/AI소프트웨어학과
3
2020621038
남
32
선문대학교
서정호
기계공학과
3
2020310073
남
33
선문대학교
이선규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과
2
2021227037
남
34
선문대학교
정재훈
전자공학과
3
2020330039
남
35
선문대학교
최승원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과
3
2020227001
남
36
선문대학교
최웅
신소재공학과
3
2020727013
남
37
순천향대학교
김다은
의료IT공학과
2
20225527
여
38
순천향대학교
최주원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33
남
39
순천향대학교
윤희찬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40
남
40
순천향대학교
이동욱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41
남
41
순천향대학교
이상기
정보통신공학과
3
20204158
남
42
순천향대학교
장홍선
전자정보공학과
4
20184321
남
43
순천향대학교
장유진
전자정보공학과
2
20234232
여
44
순천향대학교
강예린
전자정보공학과
2
20234251
여
45
순천향대학교
이현진
전자정보공학과
3
20204323
남
46
충남대학교
김재현
기계공학부
2
202002210
남
47
호서대학교
김성주
안전보건학과
2
20231151
여
48
충남대학교
이상훈
신소재공학과
3
201802227
남
49
충남대학교
전소영
유기재료공학과
4
202104337
여
50
충남대학교
임다슬
응용화학공학과
3
202202324
여
51
충남대학교
백승우
유기재료공학과
3
202002406
남
52
충남대학교
이재승
전자공학과
4
202104243
남
53
충남대학교
박정민
전파정보통신공학과
3
202001919
남
54
충남대학교
유수진
환경공학과
3
202202051
여
5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도운
기계공학부
2
2021120012
남
5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우진
전기전자통신공학부
3
2020161020
남
5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서바울
전기전자통신공학부
4
2019161071
남
5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손예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2
2023100406
여
5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윤호상
전기전자통신공학부
3
2020161080
남
6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이재곤
전기전자통신공학부
4
2019161101
남
6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최민서
전기전자통신공학부
2
2021161131
남
6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정민
메카트로닉스공학부
3
2020140030
남
6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이보훈
컴퓨터공학부
3
2017136076
남
□ 참여인원: 총 62명
□ 아이디어 주제
- 스마트 강의실: 교내 학생을 위한 대표적인 시설인 강의실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 ex) 강의실 내 사용 물품- 의자, 책상, 칠판, 전자교탁 등 강의실 구성 - 강의실 내 특정 기술 도입 등 강의실 목적 - 일반강의실, 실험실, 자율학습실, 연구실 등
□ 팀별 작품 주제
조
팀명
주제
설명
1조
블루오션
스마트의자
딥러닝 기술로 자세 문제와 출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한 의자
2조
일등조
블루투스 디지털 인포보드
강의실 앞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맞춤형 수업을 추천해주는 시스템
3조
질문해조
AI 질문 도우미
AI가 학생입장에서 교수님께 질문한다.
4조
클래스케치
클래스 캐치
학생들의 질문 도우미 시스템.
5조
칠판바꿔조
Vision Board
조도 센서,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기존의 칠판의 문제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제품입니다.
6조
SEC
스마트 환경 제어기
스마트 환경 제어기를 이용해 온습도, 조도, 공조 등을 제어하여 학습에 최적화된 강의실을 조성한다.
7조
럭키비키조
딥 러닝 기반 TA 시스템
시험 응시 강의실에서 딥 러닝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를 통해 부정행위를 식별하고, 시험 감독을 보조하는 시스템
8조
황이남
ATTF(엣)
강의실 자동 녹화 기능을 토대로 Test file 제공, 키워드 검색기능, AI 강의 요약, 자동번역기능을 탑재한 ATTF이다
9조
(9)구글
H.E.R.M.E.S.
H.E.R.M.E.S.란, 콜라보레이션툴을 기반으로 한 교수-학생간 대규모 협업 시스템입니다.
10조
3다수
스마트 스크린 쉐어링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화면공유, 실시간 반응, 화면 제어기능들을 구현함.
11조
가래떡
스마트 썬 블록 윈도우
스마트 썬 블록 윈도우는 단순히 햇빛을 차단하는 것을 넘어, 태양광 패널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원격제어로 햇빛차단과 온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어서 수업 방해를 해소하여 기존보다 향상된 교육환경을 만든다.
12조
2gather(투게더)
시험 소음 분석, 제어 장치
능동소음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실에서 발생하는 여러 소음들을 분석하고 제어함
13조
상상연구소
너의표정이보여
학생들의 표정 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육 방식 개선
14조
스무th
AI 질의응답 시스템
생성형 AI(Chat GPT)와 DB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질문하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15조
설마신드롬
PyroWatch
비전 기술을 접목해 기존의 화재경보 시스템을 개선하여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인다.
16조
오예스
알.잘!딱!
“개인 맞춤형 수업 도우미”로 아이트래킹, MR, OCR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각, 사용자 눈의 변화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기기에 출력하면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품이다.
17조
세븐틴
PT Doctor
발표가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발표 연습을 도와주는 솔루션!
18조
스마트리오
AI 지니 튜터
교수님과 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웹기반 대면 강의용 개인 맞춤 실시간 학습 보조로 학습 효율과 집중력을 향상시켜주는 AI이다.
19조
강한의리조
에듀스냅(EduSnap)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상승시킬 학습 도구.
20조
20도씨
컴포트 클래스
IOT 기술을 활용해 에어컨의 균일한 온습도 조절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21조
서윤이
Smart Booking
Yolo 객체 인지 기술을 통해 빈 강의실 내에 자리와 책상위의 물체를 인식하고 그 데이터를 코딩으로 분석하여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보드를 통해 웹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습니다.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4
-
조회수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