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재정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 인재 양성 지원 사업이란?

공과대학 스스로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방향을 수립하고 산업계 수요 및 대학특성에 맞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창의적 공학인재 양성 및 공학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

는 사업

총 사업 기간: 2022. 3. 01. ~ 2028. 2. 29.(6년)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구성(주관 - 충남대, 참여 - 순천향대, 호서대)

검색
[2024] 2024학년도 동계 중급자를 위한 AI DOFBOT 부트캠프

1 운영 목적 ❍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와 DOFBOT을 융합한 최신 기술을 활용한 능력 함양 ❍ 인공지능 및 로봇 관련 분야의 능력을 쌓고 창의적 실무적인 경쟁력 확보 ❍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기르고 팀워크 및 협업 능력 배양 2 운영 개요 ❍ 운영 시간: 총 45시간 운영 방식 운영 일자 교육 시간 장소 비고 온라인 2025. 1. 3.(금) ~ 1. 16.(목) 10시간 온라인 플랫폼 활용 대 면 2025. 1. 20.(월) ~ 1. 23.(목) 35시간 롯데리조트부여 ❍ 운영 대상: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학부생 ❍ 운영 인원: 20명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교육 기관: 유스템(Ustem) ❍ 신청 방법: 구글폼 활용 ❍ 선발 기준: 신청서의 신청 동기 등으로 선발 예정 ❍ 교육 혜택 - 교육비 전액 무료 - 숙박 및 식사 제공 - 수료기준 충족 시, 수료증 발급 ※ 수료기준: 교육을 90% 이상 성실히 참여한 자 ❍ 프로그램 주요 내용 온라인 (1. 3.~1. 16.) - 파이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형) - 파이썬 프로그램의 구조 및 입·출력 - 클래스 모듈, 내장함수 대면 (1. 20.~1. 23.) - 교구 조립 및 네트워크 설정, 라즈베리파이 구동 - 교구 제어(모바일·Open CV), 장애물 인식 및 작업구현 - 종류에 알맞은 분리수거 동작 구현, 색상 인식 블록 쌓기 - 2인 1조(총 10조)로 구성하여 조별 활동 3 운영 내용 ❍ 비대면 교육 내용 구분 차시 내용 비고 온라인 1. 3.(금)~ 1. 16.(목) 1 파이썬의 특징 2 파이썬 설치 및 기초문법 3 파이썬 프로그램의 기초 1(자료형) 4 파이썬 프로그램의 기초 2(자료형) 문제풀이 위주 5 파이썬 프로그램의 구조 1 6 파이썬 프로그램의 구조 2 문제풀이 위주 7 파이썬의 입출력 1 8 파이썬의 입출력 2 문제풀이 위주 9 클래스, 모듈, 내장함수 등 10 학생 자체평가 컨텐츠 리뷰 문제풀이 위주 ❍ 대면 캠프 교육 내용 구분 차시 내용 비고 1일차 20.(월) 1-8  교구 조립 및 네트워크 설정, 라즈베리파이 구동 - 네트워크 세팅 - 라즈베리파이 코딩 및 작동(1) - 라즈베리파이 코딩 및 작동(2) 2일차 1. 21.(화) 9-18  교구 제어(모바일·Open CV), 장애물 인식 및 작업구현 - 교구 제어(모바일 기반) - 교구 제어(Open CV 기반) - 장애물 인식 및 작업 구현(중급) - 장애물 인식 및 작업 구현(고급) 3일차 1. 22.(수) 19-28  종류에 알맞은 분리수거 동작 구현, 색상 인식 블록 쌓기 - 분리수거 동작 구현 - 블록쌓기 동작 구현 - DOFBOT 구현 및 실습 4일차 1. 23.(목) 29-35  즉석에서 주어진 동작과 미션을 조별로 빠르게 수행하고 시상 - 최종 구현 및 실습 운영 ❍ 대면 캠프 세부 추진 일정 세부 시간표 시간 1. 20.(월) 1. 21.(화) 1. 22.(수) 1. 23.(목) 8:00~8:30 교육 준비 및 학생 이동 교육 준비 후 교육장 이동 및 참가 학생 등록 8:30~9:00 교구 제어 (모바일 기반) 분리수거 동작 구현 대회 준비 및 멘토링 9:00~9:30 9:30~10:00 10:00~10:30 OT 교구 제어 (Open CV 기반) 10:30~11:00 11:00~11:30 11:30~12:00 12:00~12:30 중식 12:30~13:00 13:00~13:30 조립 및 세팅 (조별 노트북) 장애물 인식 및 작업 구현(중급) 블록쌓기 동작 구현 대회 운영 13:30~14:00 14:00~14:30 14:30~15:00 15:00~15:30 15:30~16:00 라즈베리파이 코딩 및 작동(1) 마무리 리뷰 및 종료 16:00~16:30 16:30~17:00 17:00~17:30 학생 이동 17:30~18:00 18:00~18:30 석식 18:30~19:00 19:00~19:30 라즈베리파이 코딩 및 작동(2) 장애물 인식 및 작업 구현(고급) 디버깅 19:30~20:00 20:00~20:30 - 20:30~21:00 ❍ 참여 인원: 총 20명 NO 성명 학과 학번 학년 성별 1 강성현 기계공학부 202002177 3학년 남 2 한승민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202401809 1학년 남 3 한승우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202401810 1학년 남 4 이동건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202202524 2학년 남 5 하정훈 자율운항시스템공학과 201801813 4학년 남 6 이기주 전자공학과 202201658 1학년 남 7 이재준 전자공학과 202101719 2학년 남 8 송예린 전자공학과 202301806 2학년 여 9 김태욱 컴퓨터융합학부 202202578 2학년 남 10 박재연 컴퓨터융합학부 202202587 2학년 남 11 이현우 컴퓨터융합학부 202202633 2학년 남 12 강인찬 환경공학과 202402193 1학년 남 13 권언지 환경공학과 202402196 1학년 여 14 김가람 환경공학과 202402197 1학년 여 15 오가영 환경공학과 202402214 1학년 여 16 유지현 환경공학과 202402216 1학년 여 17 신은진 환경공학과 202402210 1학년 여 18 전우성 환경공학과 202102121 2학년 남 19 김가연 환경공학과 202002055 4학년 여 20 홍석희 환경공학과 202002090 4학년 여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5
  • 조회수 104
[2024] 2024학년도 동계 초급자를 위한 JETBOT 부트캠프

Ⅰ 목적 및 프로그램 개요 1 교육배경 및 목적 ◦ 미래 신산업 및 지역 산업체 수요를 기반으로 파이썬 및 머신러닝의 기본기 함양 ◦ 공과대학 재학생의 창의적·실무적 역량 강화 ◦ 이론 및 실제 기자재 활용 교육을 통한 내실있는 양질의 교육 제공 2 교육 개요 ◦ 운영일자: 2025. 1. 20.(월) ~ 23.(목), 3박 4일 ◦ 운영시간: 총 35시간 ◦ 운영장소: 롯데리조트(부여) ◦ 참여대상: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 참여인원: 20명 내외 ◦ 선발기준: 신청서의 신청 동기 등을 통하여 선발 예정 ◦ 준비사항: 개인 노트북 ◦ 참여자 혜택 - 교육비 전액 지원 - 숙소 및 식사 제공 - 교육 수료 시, 수료증 지급 ※ 수료기준: 교육을 90%이상 성실히 참여한 자 ◦ 프로그램 주요내용 - 파이썬 기초 및 심화 - 파이썬 함수 기반 Open CV 이미지 처리 - Jetbot 활용 교육(카메라 활용 이미지 처리 등) - 2인 1조(총 10조)로 구성하고 라인트레이서 기능을 활용하여 대회 진행 3 교육 세부내용 및 일정 ◦ 대면캠프 일정 1. 목표 : 학습한 파이썬을 기반으로 원하는 코드를 작성,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응용하여 라인트레이서 기능을 구현하는 것 2. 구성 : 2인 1조(총 10개 조)로 진행하고, 보조강사 배치를 통해 교육 종료까지 실시간으로 솔루션을 제공 및 멘토링 진행예정 3. 주요 목표 - 1일차 : 파이썬 프로그램 설치부터 기초 정보 습득 - 2일차 : 파이썬 함수 기반으로 Open CV를 통한 이미지 처리 - 3일차 : jetbot 교구 내 카메라 활용한 이미지 처리, 라인 감지 구현 - 4일차 : 라인트레이서 기능 활용하여 직접 구성한 로직으로 대회운영 < 사용 키트 > < Jetson Nano > 4. 강사 명단 참여강사 List 구분 이름 연락처 비고 주 강사 금 경 원 010-6618-5420 공학교육 전문가 보조 강사 김 영 훈 010-4205-4778 공학교육 보조경험 신 재 경 010-6698-7301 공학교육 보조경험 유 지 수 010-7605-3403 백엔드 현역 개발자 ◦ 교육 세부계획 구분 1월 20일(월) 1월 21일(화) 1월 22일(수) 1월 23일(목) 8:30 ∼ 9:00 부여 출발 및 도착 아침식사(도시락 제공) 9:00 ∼ 9:30 파이썬 심화 1 (함수 등) 카메라 활용 (이미지 처리) 대회준비 및 멘토링 9:30 ∼ 10:00 참가학생 등록 OT · 안전교육 10:00 ∼ 10:30 파이썬 기초 1 (자료형) Open CV 설치 및 처리 10:30 ∼ 11:00 11:00 ∼ 11:30 11:30 ∼ 12:00 12:00 ∼ 12:30 중식시간 12:30 ∼ 13:00 13:00 ∼ 13:30 파이썬 기초 2 (제어문) Open CV 이미지/딥러닝 라인감지 등 (임계값 지정 등) 대회 운영 13:30 ∼ 14:00 14:00 ∼ 14:30 14:30 ∼ 15:00 15:00 ∼ 15:30 파이썬 기초 3 (함수) 15:30 ∼ 16:00 16:00 ∼ 16:30 마무리 리뷰 및 종료 16:30 ∼ 17:00 17:00 ∼ 17:30 - 17:30 ∼ 18:00 18:00 ∼ 18:30 석식시간 18:30 ∼ 19:00 19:00 ∼ 19:30 파이썬 기초4 (입출력) 기초 제어 (HW / SW 설정) 라인트레이서 (로직 설정) 19:30 ∼ 20:00 20:00 ∼ 21:00 - ※ 추진 및 캠프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교육 이수자 : 20/20명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5
  • 조회수 80
[2024] TBM(Tech Business Modeling) 창업캠프

Ⅰ 2025 TBM 창업캠프 개요 1. 추진 목적 가.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산업과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인재 양성 나. 청년창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실습 기반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다. 준비된 기업가를 육성하기 위한 기업가정신 학교 운영의 일환 2. 운영 개요 가. 일시: 2025. 1. 14.(화) ~ 16.(목) 나. 장소: 켄싱턴리조트 서귀포 다. 공동주관: 충남대학교·전북대학교제주대학교 라. 참여대학: 충남대, 전북대, 제주대, 국립군산대, 원광대 마. 참가학생: 총 37명 (11개 팀) - 충남대 3팀(총 12명) 3. 주요 프로그램 가. 임팩트기업 이해 및 아이디어 도출 나. 사업계획서 작성과 사업화 전략 설계 다. 모의 투자 설명회 준비 및 진행, 최종 우승팀 선정 Ⅱ 주요추진내용 1. 교육 일정 시간 프로그램 내용 1일차 (7시간) ‘임팩트 기업에 대한 이해와 사례 검토 및 자체 아이디어 논의’ ~ 11:50 호텔 도착 11:50 ~ 13:00 중식 13:00 ~ 14:00 OT, 팀 소개 및 팀별 토론 14:00 ~ 15:00 임팩트기업의 의미와 가치 15:00 ~ 16:00 사회, 환경, 도시 등 임팩트 기업 관련 아이디에이션 16:00 ~ 18:00 1차 선정된 주제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토의, 주제 결정 18:00 ~ 19:00 석식 19:00 ~ 21:00 네트워킹, 해외 사례 검토 및 주제 심화 2일차 (11시간) ‘임팩트 기업 기반의 사업계획서 작성과 사업화 전략 설계’ ~ 9:00 조식 9:00 ~ 10:00 팀별 방향성 포스터 작성 및 게시 (팀별 작성, 양식 활용) 10:00 ~ 12:00 사업계획서 작성 및 검토 (취지, 목표, 사례, 타당성, 사업성 등) 12:00 ~ 13:00 중식 13:00 ~ 16:00 사업계획서 초안 작성 16:00 ~ 18:00 사회적 가치 중심의 사업계획서 검토 18:00 ~ 19:00 석식 19:00 ~ 22:00 발표자료 준비 3일차 (5시간) ‘모의 투자 설명회’ ~ 9:00 조식 9:00 ~ 10:00 발표자료 마무리 및 발표 연습 10:00 ~ 12:00 모의 IR 피칭 (투자자 평가와 상호평가 진행) 12:00 ~ 13:00 중식 13:00 ~ 14:00 평가 정리 및 만족도 조사 14:00 ~ 15:00 총평 및 시상식, 마무리 <선택 참여> 15:00 ~ 제주시 원도심 역사 투어(1시간 30분 소요) - 비행기 출발 여유 있는 신청자에 한해 선택적으로 참여 / 사전에 신청자 접수 예정 2. 참가자 명단 No 학교 팀명 전공 이름 1 원광대학교 늘솔길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권용현 2 산림조경학과 최서희 3 국립군산대학교 수지타산 경영학과 은바다 4 경영학과 한민석 5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조서영 6 산업디자인학과 김도은 7 전북대학교 에어빔 기계시스템공학부 박민진 8 기계시스템공학부 박준서 9 기계시스템공학부 이승주 10 전북대학교 비귤비귤 컴퓨터공학부 우상수 11 컴퓨터공학부 김세원 12 컴퓨터공학부 박은송 13 컴퓨터공학부 홍사강 14 전북대학교 이지클라임 기계공학과 심재운 15 건축공학과 김의겸 16 항공우주공학과 정석준 17 충남대학교 한와외국스 자유전공학부 권민성 18 컴퓨터공학부 김대민 19 컴퓨터공학부 윤민지 20 소비자학과 이승민 21 충남대학교 ELECNU 전기공학과 신상우 22 전기공학과 손무경 23 전기공학과 배진성 24 전기공학과 김운건 25 충남대학교 WorkNova 기계공학부 강성현 26 기계공학부 장유빈 27 기계공학부 송재훈 28 기계공학부 윤서영 29 제주대학교 감귤비서 인공지능전공 임유정 30 인공지능전공 김시원 31 인공지능전공 우정균 32 제주대학교 뭐랭하맨 인공지능전공 김명훈 33 건축공학전공 현수미 34 초등교육과 김시영 35 제주대학교 화 건축공학전공 고건혁 36 전자공학과 김동우 37 전자공학과 김지수 3. 경진대회 ▪ 시상결과 상격 대학명 팀명 상금 금상 전북대 공학교육혁신센터장상 전북대학교 비귤비귤 500,000원 은상 전북대 공학교육혁신센터장상 제주대학교 뭐랭하맨 300,000원 동상 전북대 공학교육혁신센터장상 충남대학교 WorkNova 200,000원 동상 전북대 공학교육혁신센터장상 전북대학교 이지클라임 200,000원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5
  • 조회수 93
[2024] 2024 Matlab 및 Simulink 교육 프로그램

□ 목적 ◦ 스마트제조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통한 교육 내실화 ◦ MATLAB 및 Simulink 개발사의 직강을 통한 프로그램 이해도 향상 ◦ MATLAB 기초교육을 바탕으로 MATLAB 고급 응용기술 습득 □ 개요 ◦ 교육명: Matlab Simulink for System and Algorithm Modeling ◦ 일정: 2024. 12. 27.(금) ~ 31.(화) (총 21시간) ◦ 장소: 산학연 210호(컴퓨터 실습실) ◦ 규모: 공과대학 재학생 20명 ◦ 주최/주관: 공학교육혁신센터 □ 교육내용 ◦ Simulink 모델 생성 및 수정, 동적 시스템 시뮬레이션 ◦ 연속시간시스템, 이산시간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시스템 모델링 ◦ 시뮬레이션 정확도와 연산속도를 위한 솔버(Solver) 설정 ◦ Simulik 모델 내 계층구조 설계 ◦ 서브시스템, 라이브러리 및 모델 참조를 이용한 재사용 가능한 모델 구성 요소 생성 □ 상세일정 일차 내용 비고 1일차 12. 27. (7시간) MATLAB 환경 살펴보기 (1.0시간) - 데스크탑 환경 - MATLAB으로 계산 수행 - 변수 및 할당 MATLAB 명령으로 스크립트 작성 (1시간) - 명령 내역 사용 - 스크립트에 명령 저장 - MATLAB 편집 환경 - 함수 호출 - 문서 사용 - MAT 파일 저장 및 불러오기 TC-MATLAB Fundamentals 1일차 12. 27. MATLAB에서 데이터로 작업 (3시간) - 벡터 활용 - 벡터 시각화 - 벡터의 값에 액세스 및 수정 - 벡터 결합 - 행렬 활용 - 외부 형식에서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흐름 제어 및 함수 생성 (2시간) - 관계 연산자 - 조건문 - 함수 생성 - 함수 작업 공간 - 구조체 데이터 저장 및 액세스 - 루프 사용 2일차 12. 30. (7시간) 모델 생성 및 시뮬레이션 (1.5시간) - Simulink 인터페이스 소개 - 전위차계 시스템 - 신호 생성 및 시각화 - 시뮬레이션 및 분석 - 솔버 동작 - 대수 루프 프로그래밍 구문 모델링 (1.5시간) - 비교 및 결정 명령문 - 액추에이터 논리 시스템 - 영점교차 - MATLAB Function 블록 이산 시스템 모델링 (2.0시간) - 이산 신호 및 상태 - PI 제어기 시스템 - 이산 전달 함수 및 상태공간 시스템 - 멀티레이트 이산 시스템 연속 시스템 모델링 (2.0시간) - 연속 상태 - 스로틀 시스템 - 물리적 경계 - 연속 전달 함수 및 상태공간 시스템 - 시뮬레이션 속도 및 정확도 Simulink Fundamentals(1) 3일차 12. 31. (7시간) 모델 계층 구조 개발 (2.25시간) - 포트 및 서브시스템 - 마스크 - 벡터 및 버스 신호 조건부 실행 알고리즘 모델링 (1.25시간) - 조건부 실행 서브시스템 - Enabled Subsystem - Triggered Subsystem - 입력 유효성 검사 모델 모델 컴포넌트 참조 (2.25시간) - 워크플로 참조 - 서브시스템 참조 - 모델 참조 - 루트 수준 입력 및 출력 - 모델 작업 공간 - 모델 참조 시뮬레이션 모드 - 모델 종속성 라이브러리 생성 (1.25시간) - 라이브러리 생성 및 구성 - 라이브러리 링크 관리 -Simulink 라이브러리 브라우저에 라이브러리 추가 Simulink Fundamentals(2) □ 교육성과 및 활용방안 ◦ 교육결과: 20명 중 20명 중급과정 수료 ◦ 교육성과 - 공학 필수 소프트웨어인 Matlab 프로그램을 기초부터 중급까지 활용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여 수업 및 과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 Simulink를 이용하여 모델 생성 및 시뮬레이션을 기초부터 중급까지 활용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여 수업 및 과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 향후활용방안 - 공학 필수 소프트웨어인 Matlab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 및 과제에 활용할 수 있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 연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음. - Simulink 활용법을 원활하게 습득하여 모델 생성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수업 및 과제에 활용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 연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음.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5
  • 조회수 104
[2024] 제2회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및 산학연추진단 워크숍 개최

Ⅰ 추진 배경 및 목적 ❍ 컨소시엄 구성 대학간 공학교육 정보 교류 ❍ 참여대학간 2024년도 혁신사업성과 공유 ❍ 3·4차 년도 사업 운영회의 및 지식 공유 Ⅱ 추진개요 ❍ 일 시: 2024. 12. 18.(수) ~ 20.(금) ❍ 장 소: 호텔브릿지 서귀포 ❍ 대 상: 3개 대학 센터장 및 실무자, 산학연추진단 등 ❍ 인 원: 24명 ❍ 주최‧주관: 충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순천향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후 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주요내용 - 중간점검 및 향후 사업 추진방향 논의 - 산‧학‧연 간의 공동목표 달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논의 - 산업체 수요조사 결과 검토 및 논의 등 ❍ 세부일정 일 시 프로그램 1일차 18.(수) 14:00∼ 14:20 등록 14:20 ~ 14:30 인사말 14:30 ~ 15:00 컨소시엄 공동 프로그램 성과 발표 15:00 ~ 15:30 Break time 15:30 ~ 17:40 2022년도 사업 운영 우수사례발표 각 참여대학 혁신센터장 17:40 ~ 만찬 2일차 19.(목) 09:30 ~ 10:00 이동 및 쉬는 시간 10:00 ~ 12:00 산학연 추진단 회의 수요조사 결과 및 차년도 운영 회의 12:00 ~ 13:00 중식 13:00 ~ 18:00 친교활동 18:00 ~ 만찬 3일차 20.(금) 09:30 ~ 10:00 이동 및 쉬는 시간 10:00 ~ 12:00 차년도 운영회의 및 실무자 회의 12:00 ~ 13:00 중식 및 폐회 ※ 상기 일정은 프로그램 운영상 변경될 수 있음 Ⅲ 추진결과 ❍ 참석인원: 총 24명 연번 소속 직위 성명 비고 1 충남대학교 센터장 정 현 2 순천향대학교 센터장 정강률 3 호서대학교 센터장 김진배 4 ㈜비원테크 대표이사 김억기 산학연추진단 5 ㈜수만 상무 명노선 산학연추진단 6 ㈜옥스 대표 박병기 산학연추진단 7 순천향대학교 부센터장 강병권 8 순천향대학교 교수 임종민 9 호서대학교 부센터장 정현준 10 순천향대학교 직원 김현경 11 순천향대학교 직원 이정연 12 순천향대학교 직원 이다운 13 순천향대학교 직원 편나현 14 순천향대학교 직원 함지수 15 호서대학교 직원 황지민 16 호서대학교 직원 양지빈 17 호서대학교 직원 박희정 18 호서대학교 직원 김은별 19 호서대학교 직원 이유주 20 충남대학교 부장 이춘수 21 충남대학교 직원 김영주 22 충남대학교 직원 이상림 23 충남대학교 직원 유혜정 24 충남대학교 직원 황정민 Ⅳ 회의 내용 ❍ 회의록 회의주제 내용 비고 컨소시엄 공동 프로그램 성과 • 한국디스플레이 산업협회 간담회 개최(24. 4. 19.) • 컨소시엄 1차 워크숍 및 산학연추진단 워크숍 개최(24. 5. 9.) • C++ 프로그래밍 부트캠프(온라인: 24. 6. 21.~29./대면: 7. 3.~5.) • 2024 22차 d-Camp 실무자 회의(24. 7. 2.) • 2024 K-디스플레이 산업전시회 견학(24. 8. 15. / 16.) • 2024 i-CAPS 및 2차 d-Camp 개최(24. 8. 20. ~ 23.) • 2차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산학연추진단 회의(24. 10. 11.) •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소시엄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24. 11. 8) • 2024 미래의 디스플레이 아이디어 경진대회 - 1차 심사: 2024. 10. 16. - 최종발표평가: 2024. 11. 8. • 2024 공학페스티벌 본선(24. 11. 15.) 및 시상식(24. 11. 22.) - 순천향대학교 본상, 특별상 수상 - 충남대학교 우수상 수상 • 2025 i-CAPS 운영 추진 사항 - 25년 i-CAPS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 - 올해는 동일한 항공권으로 구매해서 효율적으로 함께 이동하면 좋겠음. - 학교별 외화 송금 및 결제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여행사를 섭외해서 진행하는 방향 검토 필요 • 산학연추진단 워크숍 1회 운영 • 산업체 수요조사 로데이터 결과 공유 - 수요조사 결과 기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취업자의 기본역량 1순위가 작년의 경우 전공기초 및 전문지식에서 높은 비중을 보여준 반면, 올해는 작년 1순위 응답비율이 반으로 줄어들었으며, 나머지 반은 현장실무능력/문제처리능력/기술적용능력에 대한 기본역량을 1순위로 응답하였음 - 이 외 기업에서 대학 교육을 통해 꼭 개발해야 할 기본역량 1, 2, 3순위를 종합한 결과 작년과 다르게 프로젝트 수행능력(팀워크 및 차의적 문제해결 등)에 대한 역량과 기업윤리 준수 및 책임의식에 관한 역량이 순차적으로 높음 비중을 나타냄 - 학부 교육과정 졸업자의 부족한 역량으로는 작년과 동일하게 현장에 대한 인식 및 적응능력에 관한 부분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나, 작년과 다르게 융합기술에 대한 실무수행 능력 부분에 대한 응답비중이 더 높아짐 -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관한 필요성은 작년과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추가적으로 전자회로 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응답률이 높게 나타남. - 그 외 나머지는 대부분 작년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냄 2024년도 사업 운영 우수사례발표 • 충남대학교 우수사례 소개 및 성과 공유 • 순천향대학교 우수사례 소개 및 성과 공유 • 호서대학교 우수사례 소개 및 성과 공유 ❍ 2일차 회의록 회의주제 내용 비고 산학연 추진단 회의(수요조사 결과 및 차년도 운영회의) • 산업체 수요조사 결과 및 향후 공동 프로그램에 관한 논의 - 올해 데이터와 전년도 데이터가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응답하는 기업의 상황과 담당자에 따라 답변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이므로 조사 결과에 각 응답자에 대한 데이터도 따로 결과를 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업체에 추가적으로 요청하였으면 함 -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대한 교육은 이미 충청지역 프로그램 등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됨 - 책임의식과 의사소통능력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코로나 세대에 교육받은 학생들이 취업을 하고있는 만큼, 그 당시 온라인 교육으로만 이루어지다 보니 발생하게 되는 문제라고 생각함 - 예를들어 기업에서는 기술유출방지를 위한 기밀유지서약서를 작성하는데 퇴사 이후 그 서약을 지키지 않고 기술을 그냥 유출하는 경우가 잦음 이 외에 기술유출 말고도 윤리적인 책임의식의 부분도 부족한 경우가 있어서 이에 대한 교육이 진행되면 좋을 것 같음 - 그러나 이미 학교에서 공학과윤리라는 과목을 통해 책임의식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사소통능력 또한 또래들과 프로젝트 캠프 등의 교육을 통해 앞으로도 충분히 보완될 수 있을것으로 보여짐 - 공동 교육 프로그램으로 내년에는 PLC 교육을 조금 강조하면 어떨까 함 파이썬은 이미 교과목으로도 운영하기 때문에 공동 교육으로 운영하는 것은 불필요함 - 공동 교육 개념으로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홈 과 같은 관련교육으로 진행해 보는 것을 검토해 보았으면 함 ❍ 3일차 회의록 회의주제 내용 비고 차년도 운영회의 및 실무자 회의 · i-CAPS 추진에 운영 관련 논의 - 25년 2월 베트남(하노이) 개최의 해외캠프 운영 방안 논의 - i-CAPS 운영에 관한 예산 집행방법 논의 등

  • 작성자 센터 관리자
  • 작성일 2025.02.05
  • 조회수 96
1 2 3 4 5 6 7 8 9 10 1 / 14